정보편
우크라이나 신호등은 기둥까지 불이 들어와 큰 트럭이 앞을 가려 신호등을 보지 못하는 불편을 해소해준다. pic.twitter.com/acLZhIwP4z
— 이슈와 화제 (@issuetopic) January 3, 2017
"Young people, don't be afraid." - Michelle Obama in her final speech as FLOTUS pic.twitter.com/dVVr64ADxu
— BuzzFeed (@BuzzFeed) January 6, 2017
여러분 기초체력 올리구싶으신분은 런데이를 하세요 진짜 대박입니다 달리기앱인데 달리기 선수가만들어서 체계적이고 다운로드가 1만인데 4.9평점임..저코앞에서 버스보고도 체력x라 버스 놓지는 인간이었는데 이거하고 제친구들중에서 산 제일잘타는 체력대장됬음 pic.twitter.com/3UW3L3wMsF
— 박딤쿠 (@jjomal117) January 1, 2017
까칠한 클래식 https://t.co/Ut4WHZORiY 에서는 600개가 넘는 클래식 앨범을 회원가입하지 않고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 저작권 및 저작인접권이 만료되어 합법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— 신푸른솔 (@Pureunsoll) January 6, 2017
ايش الفن دا 😳 راااهييييب 😍 pic.twitter.com/oFGurqwVyj
— ماهر موصلي (@MaherMosly) January 2, 2017
시사편
의협도 좀 너무하는게, 노무현 시절에 한의사 주치의 도입했다고 비판 성명까지 내더니만 주사아줌마가 청와대 프리패스까지 하는데 성명 하나 안내냐.
— notre_dame32 (@notre_dame32) January 6, 2017
정당이름은 지을 당시에 제일 컴플렉스인 부분으로 짓게 됨 ㅋㅋㅋㅋㅋ
— 도도궁뎅이 (@melon_butts) January 8, 2017
대통합민주신당 < 최고로 분열될 때
새누리당 < 개혁대상이엇을 때
바른정당 < 박근혜 부역자들 ㅋㅋ
나형석PD가 시대의 흐름을 정확히 꿰뚫네
— 망함 (@minho42) January 2, 2017
국민들 국내여행못가 -> 1박2일
국민들 해외여행못가 -> 꽃보다시리즈
국민들 놀러못가 밥해먹을 시간도 없어 -> 삼시세끼
국민들 결혼못해 -> 신혼일기(신혼부부관찰) pic.twitter.com/M93IH8KODN
꽤 재밌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TV 홈쇼핑 업종에서 박근혜-최순실을 아주 대가리 깨법려야 할 닝겐들로 본다고...24시간 쉴새없이 특종을 때려대서 해당 시간 아이템을 완벽하게 폭망시키는 악의 축이라고 이를 갈더라(...)
— 트위터 탈출에 실패한 사에군 (@ChildrenSirloin) January 5, 2017
체불임금 작년 1조4000억원… 일본의 10배 https://t.co/zkCmbqpg7E 일본은 경제 규모가 우리나라보다 2~3배 크지만 2014년 임금 체불액이 131억3502만엔(약 1340억원)으로 우리나라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. pic.twitter.com/qMsaff5LOH
— 텍스트 읽는 요츠바봇 (@YBOT0_0) January 5, 2017
이거 정말 필요하지!!! 응원합니다. https://t.co/H6aPVA1H2e
— 🎗깊이에의 강요 (@srcordis) January 6, 2017
소름;;;;;; 홈 cctv 종류 설치하신 분들 부디 확인한번씩 해보세요...
— 🌈소란🌈 (@soranaros) January 4, 2017
출처: https://t.co/1JwTKgCJx6 pic.twitter.com/rCdYgV2qki
@soranaros 빨간 글씨 소름이네요.. pic.twitter.com/ppDSBoKsjG
— 엘바 (@G66RNlugaVvi3EL) January 5, 2017
일상편
20대 초반때 덕질하느라 친구들이랑 총 네명이서 일본간적이 있다. 호텔 도착해서 체크인 하는데 카운터직원이 우리한테 'Four 빠순?' 자꾸 이러는거임.. 너무 당황했지만 틀린말이 아니라 예스라고 했는데 알고보니 'Four person?'이었다..
— 매형 (@brother_mae) January 5, 2017
'언제 밥 한 번 먹자'와 '토요일 두시에 만나'는 다르고, '보고싶다'와 '지금 집 앞이야'는 다르다. '사주고 싶다'와 '니 생각이 나서 샀어' 또한 다르다. '사랑한다'와 '사랑을 느끼게 해 주는 것'은 다르다.-헤밍웨이, 일상에서 사랑을 느끼게
— 이지나 (@lifeisjina) December 29, 2016
스무살 이후로 좋아하는 사람들을 만나려면 일부러 시간을 만들어야 만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. 학교에 가면 그냥 친구들이 있었던 그 시절과는 다르다. 그냥 시간이 남아서 만날 수 있는 사람들은 해를 거듭하며 점점 사라져간다.
— 사자솜 (@rokanarutari) January 4, 2017
아내가 아팠던 이후로 돈으로 경험을 사는 일에 더 적극적이 되었다.
— 곰탱이 (@GomTaengEe) January 3, 2017
나중에 눈 감을 때 비싼 돈 주고 산 아파트가 생각 나겠는가, 아니면 그녀와 해변에 누워 마시던 와인과 아름다운 밤하늘이 생각 나겠는가...
아파트 안내문ㅋㅋ pic.twitter.com/qihyiDs5qE
— 도통 (@dotong_dontknow) January 5, 2017
너무나 우문현답이다 👏🏻 pic.twitter.com/Bl8UM51O5E
— 마틸다👩🏻 (@jieuna_a) January 5, 2017
극장 안내방송에 허리 숙이지 말라는 것도 이 그림이랑 같이 띄워주면 좋겠다. 저렇게 스크린 가리는 거 되게 짜증나는데 대부분은 진짜 몰라서 그러는 거고 앞사람이 저러면 말하기도 애매하다... pic.twitter.com/cHCXVIKLuN
— 남자사람 (@AContagiousMan) January 5, 2017
사는 게 팍팍할수록 낙천적인 격언이 좋더라. 별 근거도 없이 힘이 나잖아. 모든 Be는 Do로 증명하면 되는 거야. pic.twitter.com/UyYQAuBK7s
— L'ea. H (@Mardi1225) January 4, 2017
수능 영어지문이 만들어지는 원리.jpg https://t.co/xzfSgsRtBE pic.twitter.com/IdIxKA2nVB
— 익명커뮤니티 익커 (@ikker_net) January 7, 2017
'Social iss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G전자의 상반기 전략 프리미엄 스마트폰 ’LG G6‘ (0) | 2017.02.26 |
---|---|
공감 베스트 SNS (0) | 2017.02.20 |
공감 베스트 트윗 (0) | 2017.02.08 |
SNS 반응으로 살펴본 세상 이야기 (0) | 2017.01.27 |
SNS 에서 얻은 정보 (0) | 2017.01.18 |
SNS에서 얻는 유용한 내용들 (0) | 2017.0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