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구산업선은 기존 경부선 서대구고속철도역에서 대구국가산업단지를 연결하는 철도다.
'대구산업선 철도'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으로 확정 ☞https://t.co/ewvIcjgMaz pic.twitter.com/T9RhsV6qLN
— 대구광역시 (@colorfuldg) January 30, 2019
경부선과 도시철도(1, 2, 3호선) 연계 및 철도여객 수송으로 철도 접근이 열악한 대구·경북·경남 주민과 근로자·기업인 불편 해소
- 대구 서·남부 148만명 직접혜택 (대구 전체 250만명 중 59.2%)
- 경남 창녕, 경북 고령 10만명 및 대구광역권 350만명 혜택
- 근로자 48만명 출퇴근시 직접혜택 (산업선 노선에 85% 집중)
대구산업선 철도는 조성중인 국가산업단지와 기존 산업단지(성서, 달성1·2차, 테크노폴리스)를 연결하는 철도로 경남 서·북부지역 광역 연계교통망 구축과 물류비용 절감 및 산업생산 향상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균형발전에 파급효과가 큰 사업으로 예비타당조사 면제사업으로 최종 확정되었다.
대구산업선 철도는 기획재정부 사업계획 적정성조사, 기본계획수립, 기본 및 실시설계를 거쳐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.
대구산업철도는 교통환경이 열악한 대구 서·남부지역과 경남 서․북부지역에 대구산업선 철도망 구축을 통한 정시성 확보로 지역주민들의 교통복지 증대와 기업유치 및 투자, 고용 촉진 등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.
대구산업선은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노선으로 서대구역(여객), 계명대역(여객), 성서산단역(화물), 명곡역(여객), 달성군청역(여객), 달성산단(여객), 테크노폴리스(여객), 대구국가산단(여객+화물)으로 운영된다.
2019년 인구수 26만명을 돌파하며 대구의 성장축으로 탈바꿈하고 있는 달성군은 대구산업선이 개통되면 경부선, 대구권 광역철도(구미~대구~경산), 도시철도 1, 2, 3호선과 연결되고 향후 남부내륙고속철도(김천~거제간), 달빛내륙철도(대구~광주간), 창원 마산항 연결 등 동서남북 사통팔달 연결되어 철도교통의 중심축으로 발전이 기대된다.
KBS 대구 방송 광역교통망 총정리
당초 정부의 공청회 안에는 대구산업선의 종점이 대구 국산산단이었지만 대구산업선 창녕 대합 연장구간으로 서대구에서 대합산업단지까지 대구산업선 전철 (40.1㎞) 개통 노선 종점을 경남에 두게 돼면 경남도가 역점 추진하는 대구~창원간 산업철도 연장의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.
경남도는 창원~대구 산업철도가 영남권, 경남 중부내륙 산업물류를 마산 가포신항으로 처리할 수 있고 두 지역간 여객수송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.
'대구 경북 정치 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1대 총선 구미갑 예비후보 공천 경쟁 과열 (0) | 2020.01.19 |
---|---|
오중기 더불어민주당 포항 북구 국회의원 예비후보 SNS 반응 (0) | 2020.01.09 |
대구산업철도 개통 달성군 획기적 발전 전망 (0) | 2020.01.02 |
의병장 후손, 허소 前 청와대 행정관 대구 달서을 출마 (0) | 2019.12.29 |
민주당 총선 출마자 1차 검증서 경북 5명 통과 (0) | 2019.12.18 |
구미 삼삼오오 인생나눔 활동 역사탐방 군산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(0) | 2019.11.24 |